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6

좋은 프로젝트란 무엇인가? - UX편 저번 시간에 이어서 오늘은 좋은 UX를 위한 유저 시나리오/플로우에 대해 조사해보려고 한다.이것 또한 전공 분야가 아니기에... 웹 검색과 GPT를 적극 활용했다.  좋은 기능 설계를 위해서,해당 프로덕트가 무엇을 목표로 하는지타깃 유저층은 어떤지그걸 위해 어떤 구성 요소들이 필요한지에 대한 정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개발에 적용하기 위해 체계화한 것이 자주 들어본 "유저 플로우" 라는 것인데, 이걸 작성하는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자.  유저 시나리오 & 스토리기획 단계에서 아이템과 프로젝트의 목표가 정해졌다면,프로덕트를 사용하는 유저가 무엇을 얻고 싶어하고, 또 얻기 위해서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것이 바로 유저 시나리오이다. 블로그 글을 참고.. 2025. 1. 16.
좋은 프로젝트란 무엇인가? - 기획편 취준을 하면서, 이번에는 욕심을 내서 여러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다. 특히 프로젝트 2개는 초기 단계 멤버로 시작하여 기획이나 UI/UX 쪽도 건드려볼 기회가 생겼는데,평소에 내가 하던 업무와 달라서 기대가 되기도 하고, 알아야 할 것도 많을 것 같아서 이참에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또한 앞으로 계속 AI 프로덕트 개발에 참여하려면 기획적인 측면도 잘 고려해야 훌륭한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쪽은 전문적으로 공부한 분야는 아니기에, 웹 서치 + 프로젝트 진행할 때 PM 분들과 협업하며 배운 것들을 위주로 서술해보려고 한다. 좋은 프로젝트가 나오기 위해서맨 처음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에는 우선 기획을 잡고, 프로젝트 전체의 진행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일반적인 개발 프로젝트가.. 2025. 1. 16.
250104 새해가 밝았습니다 (3일 지남) 안녕하세요2025 새해가 밝았습니다.. 사실 작성일을 보시면 알겠지만 이미 3일이 지났어요 원래는 상반기 회고 / 하반기 회고로 나눠서 쓰려고 했는데 어쩌다보니 회고할 시간이 없었다. 참고로 상반기 회고는.. 게임 얘기밖에 안함https://ll2ll.tistory.com/89 240610 오늘도 어떻게든 굴러가는 취준 일상 - (3)사실 상반기 회고랑 같이 적다가, 내용이 너무 중구난방인 것 같기도 하고 길어져서 회고 / 일상 2개 글로 나눴다.회고 글은 아직 쓰는 중! 무슨 노래 듣고 계신가요?더보기 요즘은 이 노래 하나ll2ll.tistory.com 갑자기 글을 왜 쓰게 되었는가 하면과제 전형을 앞에 두고 갑자기 아무것도 하기 싫어졌기 때문이다.무려 6시간짜리 과제 ㄷㄷ... 주변인들이랑 얘기 나누.. 2025. 1. 4.
[논문 Review] 20. NV-Retriever: Improving text embedding models with effective hard-negative mining 좋은 Contrastive Learning을 위한 Hard Negative를 잘 찾아보자 https://arxiv.org/abs/2407.15831 NV-Retriever: Improving text embedding models with effective hard-negative miningText embedding models have been popular for information retrieval applications such as semantic search and Question-Answering systems based on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RAG). Those models are typically Transformer models that ar.. 2024. 12. 22.
How to Build domain-specific Embedding model - (2) : Dataset 이전 포스팅 ( https://ll2ll.tistory.com/117 ) 에 이어서, 선행 연구를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토대로 Contrastive Learning을 위한 데이터셋을 설계하고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보고자 한다.한국어 NLI DatasetSupervised Learning을 위함가장 유명한 한국어 NLI Dataset인 KorNLU, KLUE부터 알아보자. KorNLU (KorSTS / KorNLI)Paper : https://arxiv.org/abs/2004.03289Github : https://github.com/kakaobrain/kor-nlu-datasetsKorNLI : SNLI, MNLI, XNLI로부터 수집 / KorSTS : STS-B로부터 수집KorNLI는 기계 번역.. 2024. 12. 11.
Azure Function - Mac setting 밖에서 나와서 쓰려니까 Mac에서도 세팅이 필요해서 하는 중...https://learn.microsoft.com/ko-kr/azure/azure-functions/functions-run-local?tabs=macos%2Cisolated-process%2Cnode-v4%2Cpython-v2%2Chttp-trigger%2Ccontainer-apps&pivots=programming-language-csharp Core Tools를 사용하여 로컬로 Azure Functions 개발Azure Functions에서 실행하도록 배포하기 전에 로컬 컴퓨터의 명령 프롬프트 및 터미널에서 Azure Functions를 코딩하고 테스트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learn.microsoft.com 0. pre-requisi.. 2024. 12. 9.